요약
- 차상위계층으로 등록되려면 신청 필요 (차상위계층 자격 부여가 자동으로 되지 않음)
- 서류 제출+ 가구 조사 후 심사
- 자격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혜택은 통보 이후 적용
차상위계층, 따로 신청해야 하나?
YES.
기초생활수급자는 정부 시스템을 통해 선별되기도 하지만, 차상위계층은 소득과 재산을 본인이 증명하고 신청해야 한다.
관할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온라인에서 접수한다.
차상위계층 자격 기준 (2025년)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의 50% 이하일 것
- 1인 가구 → 1,196,007원
- 2인 가구 → 1,966,329원
- 3인 가구 → 2,512,677원
- 4인 가구 → 3,048,887원
- 5인 가구 → 3,554,096원
참고 https://www.songpa.go.kr/www/contents.do?key=2920
온라인 신청의 장점
- 시간 장소에 구애받지 않음
- 신분 증명은 카카오톡/네이버 등 간편 인증서로 해결
- 금융 정보 등 제공동의서는 체크박스 클릭 몇 번으로 해결
- 여러 구비서류 증 내게 해당사항 있는 서류들만 요약되니 이해하기 쉬움
온라인 신청 방법
1. 복지로(https://www.bokjiro.go.kr/) 사이트 로그인
2. "서비스 신청" 메뉴 클릭
3. 스크롤 내려서 "저소득층" 항목 찾고, "차상위계층 확인"에 신청하기 체크
4. 맨 하단으로 스크롤 내려 "저장 후 다음 단계" 버튼 클릭
이때 함께 신청할 수 있는 서비스들이 안내된다.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은 차상위계층으로 등록된 후에 신청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함께 신청하면 결과를 더 빨리 받아 혜택을 빠르게 받을 수 있다.
5. 개인정보활용동의 체크, 대상자 확인, 신청서 작성 후 다음 단계로 이동
구비서류가 안내되는데, 이 단계에서 모두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첨부 필요한 서류만 표시되니 다음으로 넘어가면 된다. 온라인의 장점 👍
6. "소득재산신고" 탭에서 본인에게 해당하는 내용만 입력한다.
나는 임대보증금, 보증금대출 등을 입력했다.
7. "구비서류 작성/첨부" 탭으로 넘어가면, 깔끔하게 앞에서 입력한 내용에 대한 서류만 첨부를 요구한다. (온라인 신청의 장점 👍)
나의 경우 임대차계약서는 갖고 있는 계약서를 모바일 카메라 어플로 스캔촬영했고, 부채증명원은 한국장학재단에서 대출확인서를 발급받아 첨부했다. 신청완료 후 추가제출 필요한 서류가 있다면 행정복지센터에서 전화로 안내를 해준다.
8. 신청완료~ 심사 결과는 서류 접수 후 보통 3~7일 내에 통보된다. 신청서에 체크한 대로 문자 또는 우편으로 통보받을 수 있으며, 복지로 홈페이지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대상자로 등록된 이후에 전기요금 감면, 교육비 지원, 주거급여 등 저소득층 지원 복지제도들을 신청할 수 있다.
'잘 살아보려는 노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핸드폰 전광판 만드는 법. 광고 없는 무료 LED 전광판 어플 추천 (0) | 2025.06.17 |
---|---|
내가 턴을 못하는 이유 (0) | 2025.06.13 |
🍱심플한 식사 기록 노션 템플릿 공유 Notion template share (2) | 2025.05.22 |
✈️ 제주도 여행! 공항 국내선 이용 방법 (1) | 2025.05.22 |
그림 그리려고 산 아이패드 프로 12.9인치 리뷰 (2020.01.30) (0) | 2025.01.29 |
댓글